hoing

논 한마지기는 몇평인가요?

일상

 

과거에는 농부들이 한 말의 씨앗을 뿌릴 수 있는 면적을 기준으로 농지의 면적을 따졌다고 합니다. 이런 면적을 세는 단위를 바로 '마지기'로 불렀는데요. 그렇다면 현대에 와서 논 한마지기는 몇 평이나 될까요?

 

 

지역별 논 한 마지기 평수

  • 경기지역 : 150평
  • 충청지역 : 200평
  • 강원지역 : 300평 또는 150평

보시다싶이 같은 논 한마기지라도 지역에 따라 150평부터 300평까지 두 배 이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때문에 정확한 논 한마기지를 따지니는 쉽지 않다고 합니다. 아무래도 이런 차이는 각 지역의 토양 조건, 기후 그리고 농사 방식의 다양성에 따라 발생되었다고 합니다.

 

 

마지기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마지기는 농지의 면적을 세는 단위로 씨 한 말을 뿌려 농사를 지을 만한 크기의 농지를 말한다. 이두로는 斗洛只로 썼는데 차자표기법을 잘 모르게 되자 이를

ko.wikipedia.org

 

마기지 기준으로 수확량은?

마기지의 평수만으로는 정확한 수확량을 알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1마기지 논에서 4가마니 정도의 벼를 수확할 수 있다고 합니다. 물론 토양상태, 비료, 관리 방식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수확량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 

결론적으로 논 1마지기는 몇평인지에 대해서는 지역마다 다르며 150평에서 300평 정도 된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. 그럼 잘 확인하시고 농지를 매매하거나 농사를 짓기 전에 잘 따져보시기 바랍니다.